[리눅스] cat 사용법
cat은 연결한다는 뜻의 영단어 concatenate의 약자입니다. cat은 인자로 받은 문자열이나 파일을 다 이어붙여서 하나로 만들어서 출력합니다. 예를 들어
cat 파일1 파일2 파일3
이라고 쓰면 파일1, 파일2, 파일3의 내용이 순서대로 연결되어 화면에 출력됩니다.
이 성질을 사용해서 cat으로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cat 파일1
이라고 하면 딱히 연결시킬 다른 파일이 없기 때문에 파일1의 내용만 화면에 출력됩니다.
그냥 cat이라고만 치면 키보드에서 입력을 받아서 화면에 출력합니다. 이것을 리다이렉션(>)을 사용해서 파일에 바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입력을 마칠 때에는 새 줄의 맨 처음에서 ctrl+d를 누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cat > 여기에저장.txt
cat에는 많은 옵션이 있습니다. 그 중 유용한 것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ve
-ve는 각 줄의 맽 끝을 $ 기호로 표시해주는 옵션입니다. 줄 맨 끝에 공백이 있을 경우 유용합니다.
-n
-n은 줄마다 1, 2, 3 등의 줄번호를 붙여서 출력하는 옵션입니다.
'전산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Bash Shell에서 파일 존재 여부 검사 시 -e와 -f 옵션의 차이 (0) | 2022.08.05 |
---|---|
[리눅스] 특정 디렉토리 내 파일 개수 보기 (0) | 2018.08.13 |
[리눅스] 특정 mime 형식의 파일만 출력하기 (예제: jpeg 파일만 출력) (0) | 2018.04.30 |
[리눅스] 리눅스 종류, 버전 확인 (0) | 2018.01.17 |
[리눅스] 리눅스 프로세스가 킬 (kill) 되었을 때 원인 찾아보기 (0)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