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시절 국어 시간에 잘못된 언어 습관의 예로 초가집, 역전 앞 등의 표현을 배웠던 기억이 난다. 초가(草家)의 가(家)가 집 가 자이니 초가집이라고 하는 것은 같은 말을 두 번 반복하는 셈이라는 것이었다. 당시 그 논리는 이해는 갔지만 무언가 개운치가 않았다. 무의식중에 풀리지 않은 찝찝함이 있어서 그랬는지 그 후로 가끔씩 같은 말이 여러 번 반복된 단어들을 발견하면 생각에 빠지곤 했다. 손수건의 수(手)는 손 수 자이니 그러면 손수건과 수건이 같은 건가? 그런데 건(巾)이 수건 건 자이니 그러면 수건과 건도 같고, 결국 손수건은 건인가? 영지(靈芝)버섯의 지(芝)는 버섯 지인데 그러면 영지버섯은 영버섯버섯인가? 국어학자들은 초가집이 잘못된 표현이라고 하는 것 처럼 손수건도 잘못된 표현이라고 하려나?

초가집이 틀린 표현이라고 했던 국어학자들은 단어의 의미만 보고 가(家)와 집을 똑같다고 했다. 가(家)는 중국어에서 온 것이고 집은 순우리말이라는 차이를 보지 못한 것이다. 아무리 뜻이 같더라도 새마을과 신촌과 뉴타운은 쓰임새가 다른 것인데 국어학자들은 그것을 보지 못한 것이다. 역사학자나 사회학자 혹은 심리학자였다면 초가집과 초가가 같다는 주장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초가 뒤에 쓸데없이 중복되이 맹장처럼 붙어 있는 것 처럼 보이는 집이라는 글자는 한국인들이 외래 문화를 받아들이더라도 고유 문화를 어떻게 해서든 남겨놓으려고 끈질기게 노력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 년 넘게 중국으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지만 한국인들은 초가에는 집을 붙이고 역전에는 앞을 붙이고 수건에는 손을 붙이면서 끈덕지게 자기 문화를 남겨 왔다. 일제시대에는 모찌를 꿋꿋이 모찌떡이라고 불렀고 영어가 들어오기 시작했을 때에도 갱(gang)을 깡(gang)패, 캔(can)을 깡(can)통이라고 부르면서 순우리말을 어떻게 해서든 남겨 왔다.

2010년대 들어서 한국인 대학원생들이 랩을 랩실이라고 부르는 것을 보게 되었다. 2000년대에는 없던 말이다. 랩은 연구실이니 랩실이라고 하면 연구실실이 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나는 여기에서도 어떻게 해서든 한국 문화의 숨이 끊어지지 않게 하려는 한국인의 습관을 본다. 여기서 실(室)은 한자이긴 하지만 중국어가 아니라 한자 한국어로 쓰인 것이다. 세계 학문의 사실상 표준 언어가 영어가 되어 버려서 논문도 영어로 쓰고 다른 나라 연구자들과 교류도 영어로 해야 하는 시대이지만 한국의 대학원생들은 꿋꿋이 랩 뒤에 굳이 실을 붙여서 랩실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초가집과 모찌떡과 랩실이 있는 한 한국인과 한국 문화는 지금껏 그래 왔듯 앞으로도 끈질기게 살아 남을 것이다.
1982년에 이어령 씨가 일본어로 "축소 지향의 일본인"이라는 책을 썼다. 이 책은 일본에서 출간되자마자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1994년에는 일본론 10대 명저에 뽑히기까지 했다. 이 책에 대한 많은 평 중 내게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동경대 교수 하가 도루 씨의 평이다. "일본인이 한국에서 한국말로 이처럼 능란하게 한국 문화를 논할 날은 대체 언제쯤이면 올 것인가."

이 책은 이전 일본론들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시작된다. "국화와 칼"을 위시해서 서양에서 출판된 수많은 일본론의 많은 부분은 사실 일본론이 아니라 동북아론이었다는 것. 바닥에 앉고 젓가락을 쓰고 쌀밥을 먹는 일본인들을 보며 서양인들은 그것이 일본만의 특징이라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했다.

그러면 일본인이 쓴 일본론은 괜찮을까. 이 책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스스로를 서양과는 끊임없이 비교했으면서도 정작 바로 옆나라,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교류해 온 한국과는 비교해 본 적이 없었다는 것. 이어령 씨는 그 한 예로 일본에서 나온 책에 일본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인분을 비료로 사용했던 나라라는 이야기가 실렸던 것을 지적한다. 똥 얘기로 굳이 다투고 싶지는 않다는 말과 함께.

이렇게 시작되는 "축소 지향의 일본인"은 과장을 보태지 않고 한 장 한 장을 넘길 때 마다 감탄이 나오는 통찰력으로 가득 차 있다. 특히나 같은 뜻의 단어가 서로 다른 언어에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지를 파고드는 이어령 씨의 글쓰기 스타일이 잘 살아있기 때문에, 일본어를 공부해 본 사람에게는 이 책의 재미가 세 배, 네 배 배가될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어령 씨의 접근 방식, 즉 일본을 알려면 일본을 한국과 비교 및 대조해보아야 한다는 말은 한국론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어느 나라 론(論)이라는 것은 비교할 대상이 있어야만 성립되는 것이다. 이 지구에 나라가 오직 한국 하나 뿐이라면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은 무의미한 것이 될 것이다.

내가 홍콩에 살면서 느꼈던 것은, 한국 사람들은 큰 것을 참 좋아한다는 것이었다. 중국 사람들이 스케일이 크지 않냐고? 중국 사람 이름에서 작을 소(小)자를 보기는 쉬워도 클 대(大)자를 보기는 어렵다. 홍콩을 대표하는 영화배우 이소룡(李小龍)은 작은 용(小龍)이지 큰 용이 아니었고, 개혁개방을 추진했던 인물은 등소평(鄧小平)이었지 등대평이 아니었다. 중국에서는 친한 사람끼리 이름 앞에 작을 소(小)자를 붙여서 부른다. 중국의 유명 IT 기업인 샤오미는 중국어로 좁쌀이라는 뜻인데 한자를 글자 그대로 보면 小米, 작은 쌀이 된다.

한국은 어떤가? 이름에 클 대(大)가 들어간 한국 사람은 많이 봤어도 작을 소(小)가 들어간 사람은 본 적이 없다. 홍콩 옆 마카오에 가면 한국 최초의 로마 가톨릭 신부인 김대건(金大建) 신부의 발등 뼈와 목상이 있다. 우리나라 15대 대통령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었다. 다 이름에 클 대(大)가 들어간다. 13대 대통령인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이름에는 클 대(大)보다도 더 큰 클 태(泰)가 들어가 있다. 하다못해 컵라면도 왕(王)뚜껑이라고 부르는 게 한국식 이름이다. 회사 이름에도 대우, 대림처럼 클 대(大)를 쓰면 썼지 작을 소(小)를 쓰지는 않는다.

스마트폰은 컴퓨터를 한 손에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든 물건인데, 이게 한국에 들어오자 크기가 커졌다. 한국인보다 평균 체구가 큰 미국인을 대상으로 만든 아이폰의 화면 크기는 2011년 10월에 발표된 아이폰 4s 시절까지 3.5인치였는데, 한국에서는 2011년 9월에 5.29인치짜리 갤럭시 노트가 나왔다. 물론 2010년에 델 스트릭이라는 제품이 나오기는 했었지만 실질적으로 패블릿 시대를 연 것이 갤럭시 노트라고 말하는 것에 무리는 없을 것이다.

왜 한국인은 큰 것을 좋아하게 되었을까. 일본이 섬나라라고 하지만, 사실 일본은 혼슈만 해도 한반도보다 클 정도로 넓은 나라다. 그런데 왜 일본에서는 SUV까지도 소형으로 만들고, 왜 한국에서는 큰 차가 인기가 많은지. "축소"라는 키워드로 일본을 읽어보는 것 처럼 "거대화"라는 키워드로 한국을 읽어보는 것이 의미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덤프'하지 말자  (1) 2017.07.03
잘해야 본전, 밑져야 본전  (2) 2017.06.11
오색무지개는 빨주노초파남보 일곱 색  (0) 2017.05.02
바운더리 거리 (Boundary Street)  (2) 2017.04.18
2017년 청명절  (2) 2017.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