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초반에 스페인어를 공부한 적이 있었다. 사실 공부라고 하기에는 좀 이상한데 뭐라고 딱히 표현할 말이 없다. 방식은 간단했다. 기초 회화 교재를 사서 책은 하나도 안 보고 테이프만 (그 때는 외국어 교재에 CD나 mp3가 아니라 테이프가 있었다) 계속해서 듣고 또 들었다. '아기들은 태어나서 아무 것도 모르는데도 듣고 또 듣다 보니 말을 배우잖아? 그러면 나도 무작정 계속 외국어를 들으면 그 말을 하게 되겠지'라는 생각에서였다.

 

반 년 동안인가 그렇게 테이프를 들었다. 하루에도 몇 시간씩 들었다. 그랬더니 테이프가 저절로 외워지기 시작했다. 아직도 알파벳은 대충 생각이 난다. 아 베 쎄 체 데 에 에페 헤 아체 이 호따 까... 저것도 알파벳이라고 알고서 들은 게 아니라 테이프에서 알파베또라고 하면서 말하길래 대충 어림짐작으로 알파벳인가보다 했던 것.

 

지금은 까먹었지만 대화도 저절로 외워졌었다. 물론 무슨 뜻인지는 전혀 알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고등학교 후배와 연락이 닿았는데 어쩌다 보니 스페인어 이야기가 나왔다. 그 후배는 내 기억에 스페인 문화원이었던 것 같은데 어쨌든 어디에선가 체계적으로 스페인어 수업을 받고 있었다. 그 때 내가 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는 모르겠는데 나도 스페인어를 공부하고 있다고 말을 해버렸고, 갑자기 그 후배가 스페인어로 말을 걸었다.

 

어? 뜻은 모르겠지만 내가 테이프에서 들었던 말이었다. 그래서 테이프의 그 다음 말로 내가 대답을 했다. 그랬더니 후배가 뭐라고 또 말을 했는데 그것도 테이프에 있던 말이었다. 그래서 나는 또 테이프대로 대답을 했다. 그렇게 네 번 정도 말(?)이 오간 후에 스페인어 대화(?)는 끝이 났다. 나에게는 참 신기한 경험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도 영어로 치면 하우 알 유?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뭐 이런 대화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니 내가 들었던 초급 회화 교재하고 대화가 똑같이 흘러갔겠지. 나는 아직도 내가 무슨 말을 했는지 모른다. 그런데 그 후배는 어땠을까? 아마도 내가 기초 스페인어 회화를 할 줄 안다고 생각했을 거다.

시간이 흘러 아마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게 된 뒤에 '중국어 방'이라는 사고 실험을 알게 되었다.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인데 내용은 이렇다. 방 안에 중국어를 전혀 모르는 사람을 들어가게 하고 모든 중국어 문장에 대한 대답이 적혀 있는 책을 준다. 그런 뒤에 중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불러와서 방 밖에서 종이에 글을 적어서 방 안에 넣게 한다. 그러면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자기가 가진 책에서 그 글을 찾은 뒤 대답을 적어서 방 밖으로 보낸다. 그런 식으로 필담을 계속 나눈다고 했을 때에 방 안에 있는 사람은 중국어를 전혀 모르지만 방 밖에 있는 사람은 그 사실을 알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니 어떤 프로그램이 튜링 테스트를 통과해도, 즉 컴퓨터가 채팅에서 사람을 감쪽같이 속이더라도 그것을 인공지능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것이 요지이다.

내 스페인어 대화 경험과 비슷하다. 나는 20대 초반의 시도를 통해 나도 모르는 새에, 비록 스페인어를 배우는 데에는 실패하긴 했지만 유명한 사고실험을 직접 해 보았던 것이다.

'중국어 방'에 중국어에 대한 지능이 있다고 봐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해 학자들 간에 많은 토론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 토론이 있었다는 것은 다른 말로 하면 저 '중국어 방'이 중국어를 할 줄 안다고 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있었다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분명히 말할 수 있다. '중국어 방'에는 중국어에 대한 지능이 없다. 왜냐하면 내가 바로 저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스페인어로 대화를 했지만 나는 스페인어를 전혀 이해하고 있지 못했으니까. 그 사실을 너무나도 잘 아니까.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나 스스로가 몰랐으니까.

이 글의 초안을 썼던 것이 2016년 알파고 대국 즈음인데, 그 후 8년간 인공지능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다. 이젠 인공지능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한 시대가 되었다. 그런데, 인공지능이 글을 쓴다고 해서 인공지능에게 참으로 지능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혹은,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려낸다고 해서 인공지능을 예술가라고 할 수 있을까? 사람 입장에서는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을 보면서 충분히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을 받을 수 있고, 그 그림을 예술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내가 궁금한 것은 "인공지능이 예술을 한다"라고 말할 수 있는지이다. 풀밭에 핀 꽃을 보고서 내가 "와 이건 예술이다!"라고 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꽃을 예술가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지금까지 방식의 인공지능이라면, 즉 뭔가 많이 복잡하고 계산이 빠를 뿐 사실 작동 원리 자체는 알고리즘일 뿐인 인공지능이라면 나는 그 인공지능에게 진짜로 지능이 있다고도, 그 인공지능 자체를 예술가라고 부르지도 못하겠다. 전기밥솥이 밥을 잘 하고 오븐이 피자를 잘 굽는다고 해서 전기밥솥과 오븐이 요리사는 아니니까. 촘스키가 그런 말을 했다고 한다. "만약 잠수함이 수영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면 로봇도 생각을 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잠수함이 하는 건 수영은 아니다.

결국 인공지능에게 참 지능이 있는지, 인공지능을 예술가라고 부를 수 있을지는 목적이 있는지로 판단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비록 스페인어로 대화를 하긴 했지만 내가 하고 싶은 말을 한 게 아니라 외운 것을 따라 한 것 뿐이기에 나에게는 스페인어에 대한 지능이 없는 것이고, 인공지능이 훌륭한 그림을 그려낸다고 해서 그 인공지능이 예술가인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이 목적을 갖고 어떤 일을 하기 전까지 인공지능은 그저 주어진 알고리즘에 따라 엄청 빨리 계산할 줄 아는 계산기에 불과할 것이다. 목적을 가지려면 당연히 자아라는 개념이 있어야 하는데, 자아를 가진 인공지능이 과연 나올까? 나온다면 언제쯤 나올까? 아니, 그에 앞서 자아라는 건 과연 무엇일까?

'글쓰기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르던 노래가 남아서  (1) 2024.11.13
머지되지 못한 커밋  (0) 2024.09.13
펄 쓰던 개발자의 회상  (0) 2022.08.23
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2) 2022.02.27
리을 이야기  (2) 2022.01.10

초등학생 때 읽던 동화책에 이런 내용이 있었다.

어느 날 저녁에 아이가 창 밖으로 아빠의 노래소리를 듣는다. 아빠가 퇴근하고 집에 오셨구나 했는데 그 노랫소리는 저 멀리 멀어져간다. 아빠가 아니고 다른 사람이구나 하고 아이는 생각했다. 한 30분쯤 후 아빠가 집에 오셨다. 아이는 아빠에게 "아빠! 아까 아빠랑 목소리가 엄청 비슷한 사람이 노래를 부르면서 갔어요." 라고 말한다. 그러자 아빠는 그게 자기였다고 한다. 어리둥절해하는 아이에게 아빠가 설명해준다. "부르던 노래가 남아서 마저 부르고 왔단다."

당시에는 아무리 읽고 또 읽어도 도저히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어서 결국 이해하는 걸 포기하고 다음 이야기로 넘어갔었다. 단어나 문장이 이해가지 않는 것이 아니라 도대체 왜 노래가 남았다고 더 부르고 오는지, 그게 무슨 의미를 갖는 것인지가 아무리 생각을 해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았었다.

오늘 초저녁에 나갔다가 밤에 들어오면서 노래를 흥얼거리는데 아파트 입구에 도착했는데도 노래가 남았다. 정확히는 간주와 2절이 남았다. 그래서 더 걸었다. 이어폰도 스피커도 없었지만 고등학생 때 윈앰프로 수도 없이 들었던 노래의 간주는 머릿속에서 저절로 재생이 되었다. 그렇게 들리지 않는 간주를 다 듣고, 남은 2절을 마저 부르고 집으로 들어갔다.

어떤 이야기는 이해하는 데에 생각이 아니라 인생이 필요할 때가 있다. 초등학생 때 읽었던 그 동화가 바로 그랬다. 30년이 걸렸다. 동화 하나를 이해하는 데에, 그리고 도대체 노래가 남았다는 것은 무엇이고 그 남은 노래는 왜 마저 불러야 하는지를 깨닫는, 아니, 느끼는 데에.

'글쓰기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어, 중국어 방, 인공지능  (1) 2024.11.18
머지되지 못한 커밋  (0) 2024.09.13
펄 쓰던 개발자의 회상  (0) 2022.08.23
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2) 2022.02.27
리을 이야기  (2) 2022.01.10

회사의 주인은 주주이지만 소속감을 느끼는 것은 직원이듯, 회사에서 작성한 코드의 주인은 회사이지만 그 코드에 애착을 느끼는 것은 개발자이다. 특히나 그 코드가 30대의 내 인생의 2년 3개월을 오롯이 바쳐서 만든 코드라면 더더욱.

개발자로 일을 하다 보면 코드 전달이라는 걸 하게 될 때가 있다. 일종의 인수인계인데, 최신 코드를 설명문과 함께 전달하고 필요에 따라 코드 설명회를 여는 과정이다. 코드를 전달받는 대상은 회사 내부의 다른 직원일 수도 있고 아니면 협력사가 될 수도 있다.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정성을 쏟아서 만든 코드이든 나에게는 가타부타할 권리가 없다. 회사에서 작성한 모든 코드는 회사의 것이고, 그걸 다 알고 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입사했으니. 모든 절차를 마치고 태연한 척 '싱숭생숭해 할 필요 없어. 우리는 다 프로잖아?' 하는 허세 가득한 마음을 속으로 먹어 주면 모든 과정은 끝이 나게 된다.

그렇지만, 조선 시대에 유씨 부인이 바늘이 부러지자 슬픔을 금할 길이 없어 조침문(弔針文)을 지었다면, 나도 이제 내 손을 떠나가게 된 코드를 위해 글 한 토막은 쓸 수 있지 않을까. 유씨 부인은 17년 간 사용했던 바늘이 부러지는 순간 정신이 아득하고 마음을 빻아 내는 듯 해서 기색 혼절하였다고 하는데, 나야 그 정도는 아니지만 어쨌든 무언가 마음 속이 허한 것은 막을 길이 없다.

하지만 보내줄 땐 보내주어야 한다. 언제가 붙잡아야 할 때이고 언제가 보내주어야 할 때인지 사람은 본능적으로 안다. 보내주어야 할 때는 아쉬움이나 미련이 없게 충분히 슬퍼하고 애타한 뒤 깔끔하게 보내주어야 한다. 유씨 부인도 부러진 바늘을 대장간에 가져가면 왜 못 고치겠냐마는 '동네 장인에게 때이련들 어찌 능히 때일손가' 라며 마음을 정리하고 바늘을 고이 보내주었듯, 나도 이젠 코드를 보내줄 때가 되었다. 기실 바늘이나 코드는 자기가 어떻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괜히 바늘 주인이, 코드 개발자가 슬퍼하는 것이지. 아직 못다한 리팩토링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바꾸고 싶었던 변수명이, 별도 브랜치에 작성까지 했으나 결국 메인에 머지되지 못한 커밋이 머릿속에, 그리고 마음 속에 자꾸 맴돈다. 이럴 줄 알았으면 수많은 코드 사이 어딘가에 이스터 에그 하나쯤 남겨놓을걸, 하는 큰 허전함을 뒤로 하고 마지막으로 아쉬우니 괜히 git pull 한 번 하고 너를 보낼게. 가서도 잘 컴파일되고 지내야 한다. 라이브러리 의존성 안 맞는다고 심술내면서 에러 내뱉지 말고. 건강히 착하게 잘 지내렴. 나는 이제 exit 할게. 안녕.

 

'글쓰기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어, 중국어 방, 인공지능  (1) 2024.11.18
부르던 노래가 남아서  (1) 2024.11.13
펄 쓰던 개발자의 회상  (0) 2022.08.23
이어령 선생님의 부고를 듣고  (2) 2022.02.27
리을 이야기  (2) 2022.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