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 때문에 10년만에 도쿄에 갔다. 그 사이에도 몇 번 일본에 간 적은 있었지만 도쿄는 정말 오랜만이었다. 홍콩에 있다가 도쿄에 가니 땅이 참 넓었다. 홍콩에 살다 보면 길에서 사람들하고 부딪히는 것과 고층 건물 때문에 하늘을 못 보는 것이 일상이 되기 마련인데 도쿄에서는 길이 넓어서 걷기에 편했고, 고층 건물들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어서 하늘도 마음껏 볼 수 있었다. 그런데 분명 땅은 넓은데 뭔가 마음 한 구석이 답답했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중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의문이 어느 정도 풀렸고, 저녁 식사 때문에 식당에 들어갔다가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었다.

여백이 없어서 그랬다.

지하철에 붙어 있는 책 광고는 안그래도 띄어쓰기가 없는 일본어로 가득 차 있었다. 여백도 없어서 광고판 테두리 직전까지 글자가 쓰여 있었다. 한국에서는 박찬호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일기를 논문 수준으로 빼곡히 쓴다고 화제가 되었지만 일본에서라면 아무런 화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았다. 광고 뿐만이 아니었다. 지하철 역사도 온갖 표지판과 안내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 환승에 대한 표지판이 있으면 또한 그 표지판의 위치를 알려주는 화살표가 바닥에 그려져 있었고, 계단에는 모든 칸마다 우측통행이라고 딱지가 붙어 있었다. 그렇게 여백을 채우고 채우다 도저히 그 무엇도 붙일 수 없을 만한 곳이 나타나면 뜬금없는 문구라도 붙여 놓았다. "안전제일"

그렇게 지하철에서 어느 정도 생각이 정리된 상태로 식당에 들어갔다. 식당 안에도 여러 가지 안내문이 붙어 있는 것은 역시나였다. 의자에 앉았는데 그 순간 식탁과 의자 사이 공간에 참 절묘하다 싶을 정도로 가방 놓을 공간을 만들어 둔 것을 보게 되었다. '여백이 없구나'라고 생각이 완전히 정리되는 순간이었다.

땅 좁고 사람 많은 것으로는 일본이 홍콩을 따라올 수 없다. 하지만 홍콩 사람들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넓게 산다. 식당 테이블이 4인용이면 그냥 거기에 앉아서 밥을 먹는다. 그러다 보면 다른 사람이 별 거리낌 없이 바로 앞자리에, 심지어 어떤 때는 옆자리에 와 앉아서 밥을 먹기 시작한다. 그렇게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앉아서 밥을 먹게 될지언정 홍콩 사람들은 4인용 식탁에서 밥을 먹는다.

일본은 그렇지 않다. 일본 유명 라면집에 가면 한국 독서실 스타일로 1인용 식탁을 만든 뒤 칸막이까지 쳐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모르는 사람과 겸상하는 것은 일본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일 것이다. 그렇게 해서 일본 문화는 개인에게 그 사람만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지만 그 대신 그 사람의 공간은 그만큼 작아졌다. 칸막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400짜리 식탁을 홍콩식으로 4명이 공유하면 누군가는 120을 쓰고 누군가는 80을 쓰겠지만 식탁 400 전체를 쓸 수 있다. 하지만 일본식으로 칸막이를 치고 다 조각조각 나누어 놓게 되면 모든 사람이 각각 90씩을 쓰고 칸막이가 40을 차지하게 된다. 그 칸막이만큼 일본은 좁아진다. 개인의 공간을 철저히 보장해 주는 대가는 공간의 축소인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개인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니 수저통도 다 따로 놓아 주어야 하고 컵도 각각 따로 쌓아 놓아야 한다. 홍콩식이었으면 하나만 있었으면 될 수저통이 네 개가 되어야 하고, 그 만큼 개인의 공간은 더더욱 줄어든다.

또한 개인 공간 보장은 각 개인의 무한한 책임을 수반한다. 내 공간 안에서 내가 겪는 문제에 대해 그 누구의 도움도 기대해서는 안 된다. 내가 알아서 다 해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으면 고맙습니다(아리가또 고자이마스)가 아니라 미안합니다(스미마셍)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이를 '메이와쿠'라고 한다) 안 그래도 좁은 내 공간 안에 모든 것을 다 갖추어 넣어야 하고, 그러다 보니 여백이 사라졌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엔가 그것이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을 것이다.

식사를 마치고 다시 전철을 타고 숙소로 돌아오는 길, 광고판을 보니 역시나 일본어가 빼곡히 쓰여 있었다. 일본어와 한국어가 서로에게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언어라고 하지만 한국어에는 있는 띄어쓰기가 일본어에는 없다. 아마 앞으로도 주욱 그럴 것이다. 그 띄어쓰기의 공간만큼 한국인은 일본에서 답답함을 느낄 것이고 일본인은 한국에서 허전함을 느낄 것이다.


중국 서남부에 있는 운남(雲南) 성은 인도, 사우디 아라비아, 이집트 등과 같은 위도에 있지만 고도가 높아서 여름에도 서늘한 곳이다. 운남성 여강(麗江) 시의 경우 평지가 이미 해발 2500m 정도 되어 백두산 높이와 비슷하고, 이곳에 있는 높이 5598m 짜리 옥룡설산은 만년설이 있을 정도다. 삼국지를 즐겨 읽은 사람에게는 맹획의 고장으로 유명할 것이다.

2016년 12월에 이 곳에 여행을 갔었다. 도착하자 마자 먼지 한 점 없이 맑은 공기에 감탄했고, 몇 걸음 걷지 않아 먼지만 없는 게 아니라 공기도 없어서 숨이 잘 안 쉬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일주일 내내 약한 고산병 증세로 추정되는 소화불량과 두통을 달고 살았지만 즐거운 여행이었다. 우리가 중국 하면 흔히 생각하는 한족이 아닌 여러 소수 민족들의 역사가 얽혀 있는 곳이라 볼 것도 많고 생각할 것도 많았다. 만약 신라가 676년에 나당전쟁에서 승리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우리나라 자리에는 중국의 어느 성이 신라성 정도의 이름으로 들어서 있었을 것이고 한민족은 중국의 한 소수민족이 되었을 것이며 인터넷에는 “이민족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중국 신라성 5박 6일 여행 특가상품” 같은 게 팔리고 있었겠지.

하여튼 생각할 것이 참 많던 운남성 여행에서도 특히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옥룡설산이었다. 말이 여강이지 숙소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아직 달이 떠 있던 새벽부터 일어나서 승합차를 타고 몇 시간을 달려가야 했다. 가이드로부터 두툼한 노란색 방한복과 함께 헤어스프레이 통처럼 생긴 산소통을 받고 옥룡설산 발치까지 가서 케이블카를 탔다. 케이블카가 출발하던 곳의 높이가 이미 해발 3356m였고, 케이블카에서 내린 곳은 4506m, 대충 한라산 두 개 반 정도의 높이였다. 보통 지평선을 보려면 평야에 가야 하는데 그 정도 높이까지 가자 산으로 가득찬 지평선을 볼 수 있었다. 관광객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놓은 난간 저쪽으로는 사람의 발자국이라고는 전혀 찍혀있지 않은 눈인지 얼음인지 모를 것이 소복이 쌓여 있었다.

그 눈은 몇천 년을 그 자리에 그렇게 쌓여 있었을 것이다. 가끔씩 날아와서 쉬다 간 매라면 모를까 그 자리에서 시야에 가득 차게 들어오는 끝없이 펼쳐진 산을 본 사람은 없었을 것이고, 설령 역사에 알려지지 않은 어떤 한 모험가가 옛날에 그곳까지 올라갔었다 하더라도 내가 케이블카에서 보았던 광경은 못 보았을 것이다. 과장을 좀 보태자면 그곳의 산과 눈과 하늘은 2016년 12월에 나에게 그 경치를 보여주기 위해 적어도 수천 년, 어쩌면 수만 년을 묵묵히 기다려왔던 셈이다.

“너희가 보는 것을 보는 눈은 복이 있다. 많은 임금이 너희가 지금 보고 있는 것을 보고자 하였지만 보지 못했다.” 운남성 여행을 곱씹을 때 마다 이 성경 구절이 생각난다. 운남성의 왕이었던 맹획도, 맹획을 잡으러 왔던 제갈량도, 중국의 그 어떤 황제도 내가 보았던 광경은 보지 못했다. 북경에 인공으로 이화원을 지을 정도로 경승지를 좋아하던 황제들이었으니 기회만 되었다면 옥룡설산의 비경을 보러 가지 않았을 리가 없다. 중국을 쥐고 흔들던 황제들도 보지 못했던 경관을 입장료와 케이블카 비 몇만 원만 내고 본 내 눈은 복이 있다.

'글쓰기 >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백이 없는 나라  (0) 2019.12.03
호객꾼들 경매 붙이기  (0) 2017.01.04

 

 

호객꾼들 경매 붙이기

 

여행을 하다 보면 가장 짜증나는 존재가 호객꾼들이다. 공항이나 버스 터미널을 나서기가 무섭게 수많은 호객꾼들이 주위를 둘러싸고 일부는 시끄럽게, 일부는 조곤조곤 말을 건다. 그런 호객꾼이 세네 명 이상이 되는 순간 정신이 없어지고 짜증이 솟구치기 마련이다. 하지만 중국 운남성 여행을 통해 그런 호객꾼을 여행의 재미로 바꿀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곤명 근처의 유명한 관광지 석림을 구경하고서 시외버스를 타고 곤명으로 돌아갔을 때였다. 계획이 바뀌어서 처음 가 보는 터미널에 내리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다시 시내 중심부로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무작정 버스 터미널 밖 큰길가로 나가보니 택시와 사설 운수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었고 호객꾼들이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너무 시끄럽고 정신이 없어서 일단 터미널 안으로 다시 들어왔지만 결국 택시를 타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었다.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고 택시들이 줄지어 있는 곳으로 걸어갔다. 순식간에 호객꾼들이 내 주위를 감싸고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한 호객꾼이 "빠싀(80원)!" 를 외쳤다. 시내까지 거리가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택시비로 중국에서 80원(한국 돈 약 18000원)은 말도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짜증이 나서 뒤돌아서는데 그 옆의 호객꾼이 "70원!" 하고 외쳤다.

 

그 순간 머릿속에서 무언가 번뜩이는 게 있어서 첫 호객꾼을 쳐다보며 이렇게 말했다.

 

"니 슈어 빠싀 콰이. 타 슈어 치싀 콰이. 니 뚜오 샤오 치엔? (너는 80원 불렀어. 이 사람은 70원 불렀어. 너 얼마 해 줄래?)"

 

그러자 나를 둘러싸고 있던 호객꾼들이 일순간 당황하는 것이 느껴졌다. 잠깐의 정적을 깨고 갑자기 제 3의 호객꾼이 크게 소리쳤다.

 

"60원!"

 

이제 누가 봐도 내가 이긴 싸움이었다. 편의상 순서대로 호객꾼 A, B, C라고 하자. 나는 호객꾼 B에게 다시 말했다. "이 사람은 60원에 해 준다는데?" 그러자 호객꾼 B가 40원을 불렀다. ‘아싸!’ 하는 순간 호객꾼 A가 엄청난 영업 비밀을 실토했다. "야, 너네 일행 두 명이잖아? 그런데 저 사람 지금 한 명에 40원이라고 하는거야!" 그 말을 듣고 호객꾼 B를 쳐다보자 그 사람이 죄 지은 표정으로 얼어 있었다. 자, 경매 다시 시작이다.

 

"량거런 이치 뚜오 샤오 치엔? (두명 합쳐서 얼마?)"

 

80, 70, 60, 50을 거쳐 결국 40원까지 내려갔다. 50원쯤부터 호객꾼들이 하나 둘씩 자리를 뜨기 시작했고 40원에는 한 명만 남아 있었다. 30원까지 깎아 보려다가 귀찮아서 40원으로 합의를 봤다. 두 명 합친 가격이 40원이라는 것을 두세 번씩 확인했다. 80원, 만약 그것이 1인 가격이었다면 두 명에 160원이었던 처음 가격에서 최종 40원으로 택시비를 깎은 순간이었다.

 

지금까지 나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정보의 불평등’ 때문에 여행지에서는 여행자가 항상 바가지를 쓰게 된다고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번 여행을 통해서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제학에는 정보의 불평등보다 더 우선되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 있었다. 호객꾼 때문에 짜증으로 날릴 뻔한 하루가 재미있는 이야깃거리가 된 순간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