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2022 - 8. 인생은 운전

나는 하나를 완벽히 끝내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잘 넘어가지 못하는 성격이다. 어릴 때 비디오 게임을 할 때면 화면에 나타나는 동전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다 먹어야 했고 이야기 진행이 중요한 컴퓨터 게임을 할 때면 맵에 있는 장소를 다 방문하고 모든 등장인물을 다 만나봐야 직성이 풀렸다. 대학원생 때는 기말고사까지 다 끝난 다음에도 수업 때 이해가 가지 않았던 내용을 들고 교수님을 찾아갔었고, 대학교 때 배웠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가 깊이 이해가 가지 않아 사회인이 된 지금까지도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를 시도해 왔다.

이런 나에게 있어 볼거리가 넘쳐나는 캘리포니아 1번 주도(州道)에서의 운전은 어떤 의미에서 고역이었다. 황홀한 풍경이 쉬지 않고 계속해서 나타났지만 나는 계속 앞만 보고 차만 몰아야 했다. 낮에는 그래도 마음에 여유가 있어서 도로 옆 간이 쉼터 공간이 나타나면 차를 대고 경치를 보곤 했지만 해가 조금씩 붉은빛을 띠며 서쪽 수평선에 가까워지기 시작한 후로는 마음이 급해져서 비어있는 도로를 끝없이 달리고 또 달렸다.

그렇게 달리다 보니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던 깎아지른 해안 절벽과 삐죽삐죽한 젊은 산들이 어느새 시나브로 사라지고 그 자리를 둔탁하게 닳은 오래된 얕은 언덕과 초원이 메우고 있었다. 하얗게 쨍했던 한낮의 햇빛이 북쪽의 날카로운 절벽과 참 잘 어울렸다면 붉은 기가 도는 초저녁의 햇빛은 얕은 언덕과 초원에 잘 어울렸다. 어느새 이렇게 경치가 바뀌었지 하고 놀라던 찰나 멀리 무언가 검은 것이 보였다. 자세히 보니 소였다. 여러 마리의 소가 넓은 풀밭을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풀을 뜯고 있었다.

아, 이게 말로만 듣던 방목형 목장이구나. 소들이 주인도 없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게 신기해서 자세히 보고 싶었지만 목장이 도로 옆에 있었기에 소를 오랫동안 볼 수가 없었다. 운전자에게는 전방 주시의 의무가 있지 않나. 못내 아쉬워 운전하면서 고개를 잠깐씩 돌려 소들을 보려 했지만 그러자 운전도 잘 안 되고 소도 잘 안 보였다. 그렇게 한참을 시도하다가 결국에는 소를 제대로 보는 것을 포기하기로 했다. 아쉬웠지만 어쩔 수 없었다. 소를 보자고 도로 한복판에서 멈출 수도, 아니면 차를 돌려 오던 길을 되돌아갈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이 소들은 - 적어도 이번 여행에서는 - 내가 자세히 관찰할 정물화의 대상이 아니라 휙휙 지나가는 크로키의 대상이라는 것을 인정하기로 했다. 그러자 마음이 편해졌다.

인생은 유턴 없는 운전과 참 비슷하다. 유턴 없는 길에서는 한번 지나온 곳에 다시 갈 수 없고, 인생에서는 한번 지나온 시간을 다시 살 수 없다. 운전을 하다가 창 밖에 있는 소를 제대로 보지 못 했더라도 다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고, 살면서 제대로 하지 못해 후회되는 일이 있더라도 그 시간으로 되돌아가 그 일을 고칠 수는 없다. 갈림길 직전에 방향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을 깨달았다면 우물쭈물할 시간 없이 바로 그 순간 잽싸게 길을 바꿔야 한다. 그렇게 계속해서 수많은 아쉬움을 남기며 앞으로 앞으로 가야 하는 것이 운전이고 우리의 삶이다. 그리고 지금 놓친 풍경에 아쉬워하기보다는 앞에 있는 모퉁이를 돌았을 때 갑자기 눈앞에 펼쳐질 장관을 기대하는 것이 여행자의 바른 운전 태도이고 바른 삶의 태도이다. 덧붙이자면 그렇게 멋진 경치가 많이 나타날 길을 선택하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이런 생각을 하자 마음이 편해졌고 해는 점점 지면서 붉다 못해 주황색이 된 게으른 빛을 느릿느릿 뿌리고 있었다. 그 빛을 받으며 나는 남으로 남으로 향했다. 그리고 한참 뒤 이야기이지만, 캘리포니아 여행을 다 마치고 집에 돌아간 나는 책장에 있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책을 버릴 수 있었다.

한국어에서 관용적으로 쓰이는 말 중 "인생 뭐 있나"라는 말이 있습니다. 매우 자주 쓰이는 말이지만 이 말이 서로 상반된 두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첫 번째 의미는 "인생에는 그 무엇도 없다"입니다. 여러 의미를 품고 있는 문장의 경우 외국어로 옮겨 보면 뜻이 명확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영어로 옮겨 보면 "There is nothing in life"가 되겠습니다. 인생 뭐 있나를 이 의미로 쓰는 경우 허무주의에 빠지고 삶의 의지를 잃게 되기 십상입니다. 혹은 인생이란 의미 없는 것이니 방종에 빠지자는 사고방식으로 연결되기도 합니다. 지양해야 할 용법입니다.

두 번째 정반대의 의미는 "인생에는 걱정할 것이 그 무엇도 없다"입니다. 걱정할 것 대신에 두려워할 것, 겁먹을 것 등을 집어넣어도 말이 됩니다. 영어로 옮기면 "There is nothing to worry about in life"가 되겠습니다. 역시 nothing to worry about 대신에 nothing to fear 등으로 바꾸어도 뜻이 통하겠습니다. 이 경우 인생 뭐 있나라는 말은 긍정의 말, 용기를 주는 말, 희망의 말이 됩니다.

이 외에도 세 번째 의미로 "인생에는 착하게 살 하등의 이유가 없다" 등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기도 하나, 그런 경우 한 눈에도 이상한 뜻임이 간파되는 바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결국 인생 뭐 있나라는 말은 '뭐'가 수식하는 것이 '인생'인지, 아니면 문장에서 생략된 걱정, 두려움 등의 목적어인지에 따라 그 뜻이 완전히 바뀝니다. 문장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숨어 있는 목적어를 발견하는 바로 그 순간에 이 문장은 부정에서 긍정으로 바뀝니다. 내 인생을 부정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나를 두렵게 하고 나를 앞으로 더 나아가지 못하게 했던 것을 훌훌 털어버리며 희망을 보게 되는 방향으로 돌아서게 되는 것입니다.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하는 법  (9) 2020.07.07
똑똑한 사람과 판단이 좋은 사람  (0) 2020.07.02
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0) 2020.05.17
다 괜찮은데 끼니는 거르면 안 돼  (0) 2020.05.07
가락  (0) 2020.04.06
2000년대 초에 이공계 장학금이라는 게 생겼다. 간단하게 말해서 의약계통을 제외한 이공계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라에서 주는 장학금이었다. 등록금 지원은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 교재비까지 주는 획기적인 장학금이었다. 왜 그랬을까? 이공계가 인기가 없어서였다. 당시 이과 수능 응시생은 문과 응시생의 절반이었다. 나라에서 보기에 이공계가 중요해 보이는데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학을 하지 않으니 돈을 주기로 한 것이었고, 다른 말로 하자면 이공계의 전망은 나라에서 돈을 줘야 할 정도로 깜깜하다는 것을 나라가 인정한 꼴이었다. 돈 받아도 안 가는 이공계가 돈을 내면서도 가는 다른 학과와 비교된 것은 덤이었다.

2010년대가 저물어가는 지금, 신문을 볼 때마다 이공계로 수험생들이 몰린다는 기사를 보게 되는 요즘에는 참 생소하게 들릴 10여년 전 이야기이다. 왜 10여 년 전에는 돈을 준대도 기피대상이던 이공계에 지금은 사람이 몰릴까. 이공계 장학금을 꾸준히 줘 왔어서? 아니다. 장담하는데 이공계 장학금 제도를 지금 갑자기 없애 버려도 이공계로 여전히 사람이 몰릴 것이다. 예전에 법대와 의대로 지원자가 몰렸던 게 장학금 때문은 아니었지 않는가. 사람들은 전망을 본다. 당장 등록금을 많이 내더라도 졸업 후에 자기에게 도움이 될 것 같으면 그 학과에 지원하고, 반대로 장학금을 많이 받을 수 있더라도 졸업 후의 전망이 어두컴컴하면 그 학과에 지원하지 않는 것이다.

입시 이야기를 주저리 주저리 한 것 같지만 사실은 저출산에 대한 이야기이다.

얼마 전 본 신문 기사에는 2006년 부터 지금까지 한국 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69조 원을 썼다고 나와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세계 최저의 출산률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이공계 장학금과 같은 맥락에서 봐야 한다. 첫째 낳으면 얼마, 둘째 낳으면 얼마, 셋째 낳으면 얼마, 어린이집 얼마 식으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해준다는 소식을 보며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할까? '아, 애 낳아서 키우는 게 나라에서 돈을 줄 정도로 기피할 만한 일이구나' 라고 생각하지 않을까.

이공계 기피 현상을 해결한 것이 이공계 장학금이 아니라 좋아진 이공계 졸업 후의 전망이었듯, 저출산 해결은 정부 보조금이 아니라 육아가 즐거울 것이라는 전망을 국민들에게 보여주는 것에 있다. TV에 연예인들이 나와서 예능이라는 미명 하에 결혼생활을 무슨 인생의 파멸마냥 이야기하며 히죽거리는 한, 어린이집에서 무 한 조각으로 수십명 치의 무국을 끓였다는 소식이 들리는 한, 중고등학생들이 같은 반 친구를 피범벅이 되도록 두들겨 팼다는 뉴스가 들리는 한, 대졸자들이 집을 사려면 20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다 모아야 하는 한 269조가 아니라 더 큰 돈을 쏟아부어도 출산률은 올라가지 않을 것이다.

무가지보(無價之寶)라는 말이 있다. 진짜 보물은 값을 매길 수 없는 법이다. 출산은 그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는 것 자체가 불경스러울 귀한 일인데 그 귀한 출산에 대한 문제를 돈을 퍼부어서 해결하려 했기에 역대 정책이 다 실패한 것이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즉 어슴푸레한 새벽의 아름다움, 팔랑거리며 날아가는 나비, 시원한 바람 소리, 투명하게 빨간 단풍잎, 쨍한 겨울 하늘을 국민들이 마음 놓고 느낄 수 있는 사회가 되는 순간 사람들은 정부에서 보조금을 주지 않아도 그 아름다움을 내 자식에게도 보여주고 싶어서 자녀를 갖게 될 것이다.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락  (0) 2020.04.06
이어령 선생님과의 대화  (0) 2020.01.12
홍콩 시위에 대한 단상 2  (0) 2019.11.14
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0) 2019.09.20
홍콩 시위에 대한 단상  (0) 2019.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