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장 때문에 10년만에 도쿄에 갔다. 그 사이에도 몇 번 일본에 간 적은 있었지만 도쿄는 정말 오랜만이었다. 홍콩에 있다가 도쿄에 가니 땅이 참 넓었다. 홍콩에 살다 보면 길에서 사람들하고 부딪히는 것과 고층 건물 때문에 하늘을 못 보는 것이 일상이 되기 마련인데 도쿄에서는 길이 넓어서 걷기에 편했고, 고층 건물들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어서 하늘도 마음껏 볼 수 있었다. 그런데 분명 땅은 넓은데 뭔가 마음 한 구석이 답답했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중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의문이 어느 정도 풀렸고, 저녁 식사 때문에 식당에 들어갔다가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었다.

여백이 없어서 그랬다.

지하철에 붙어 있는 책 광고는 안그래도 띄어쓰기가 없는 일본어로 가득 차 있었다. 여백도 없어서 광고판 테두리 직전까지 글자가 쓰여 있었다. 한국에서는 박찬호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일기를 논문 수준으로 빼곡히 쓴다고 화제가 되었지만 일본에서라면 아무런 화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았다. 광고 뿐만이 아니었다. 지하철 역사도 온갖 표지판과 안내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 환승에 대한 표지판이 있으면 또한 그 표지판의 위치를 알려주는 화살표가 바닥에 그려져 있었고, 계단에는 모든 칸마다 우측통행이라고 딱지가 붙어 있었다. 그렇게 여백을 채우고 채우다 도저히 그 무엇도 붙일 수 없을 만한 곳이 나타나면 뜬금없는 문구라도 붙여 놓았다. "안전제일"

그렇게 지하철에서 어느 정도 생각이 정리된 상태로 식당에 들어갔다. 식당 안에도 여러 가지 안내문이 붙어 있는 것은 역시나였다. 의자에 앉았는데 그 순간 식탁과 의자 사이 공간에 참 절묘하다 싶을 정도로 가방 놓을 공간을 만들어 둔 것을 보게 되었다. '여백이 없구나'라고 생각이 완전히 정리되는 순간이었다.

땅 좁고 사람 많은 것으로는 일본이 홍콩을 따라올 수 없다. 하지만 홍콩 사람들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넓게 산다. 식당 테이블이 4인용이면 그냥 거기에 앉아서 밥을 먹는다. 그러다 보면 다른 사람이 별 거리낌 없이 바로 앞자리에, 심지어 어떤 때는 옆자리에 와 앉아서 밥을 먹기 시작한다. 그렇게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앉아서 밥을 먹게 될지언정 홍콩 사람들은 4인용 식탁에서 밥을 먹는다.

일본은 그렇지 않다. 일본 유명 라면집에 가면 한국 독서실 스타일로 1인용 식탁을 만든 뒤 칸막이까지 쳐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모르는 사람과 겸상하는 것은 일본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일 것이다. 그렇게 해서 일본 문화는 개인에게 그 사람만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지만 그 대신 그 사람의 공간은 그만큼 작아졌다. 칸막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400짜리 식탁을 홍콩식으로 4명이 공유하면 누군가는 120을 쓰고 누군가는 80을 쓰겠지만 식탁 400 전체를 쓸 수 있다. 하지만 일본식으로 칸막이를 치고 다 조각조각 나누어 놓게 되면 모든 사람이 각각 90씩을 쓰고 칸막이가 40을 차지하게 된다. 그 칸막이만큼 일본은 좁아진다. 개인의 공간을 철저히 보장해 주는 대가는 공간의 축소인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개인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니 수저통도 다 따로 놓아 주어야 하고 컵도 각각 따로 쌓아 놓아야 한다. 홍콩식이었으면 하나만 있었으면 될 수저통이 네 개가 되어야 하고, 그 만큼 개인의 공간은 더더욱 줄어든다.

또한 개인 공간 보장은 각 개인의 무한한 책임을 수반한다. 내 공간 안에서 내가 겪는 문제에 대해 그 누구의 도움도 기대해서는 안 된다. 내가 알아서 다 해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으면 고맙습니다(아리가또 고자이마스)가 아니라 미안합니다(스미마셍)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이를 '메이와쿠'라고 한다) 안 그래도 좁은 내 공간 안에 모든 것을 다 갖추어 넣어야 하고, 그러다 보니 여백이 사라졌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엔가 그것이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을 것이다.

식사를 마치고 다시 전철을 타고 숙소로 돌아오는 길, 광고판을 보니 역시나 일본어가 빼곡히 쓰여 있었다. 일본어와 한국어가 서로에게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언어라고 하지만 한국어에는 있는 띄어쓰기가 일본어에는 없다. 아마 앞으로도 주욱 그럴 것이다. 그 띄어쓰기의 공간만큼 한국인은 일본에서 답답함을 느낄 것이고 일본인은 한국에서 허전함을 느낄 것이다.

2000년대 초에 이공계 장학금이라는 게 생겼다. 간단하게 말해서 의약계통을 제외한 이공계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라에서 주는 장학금이었다. 등록금 지원은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 교재비까지 주는 획기적인 장학금이었다. 왜 그랬을까? 이공계가 인기가 없어서였다. 당시 이과 수능 응시생은 문과 응시생의 절반이었다. 나라에서 보기에 이공계가 중요해 보이는데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학을 하지 않으니 돈을 주기로 한 것이었고, 다른 말로 하자면 이공계의 전망은 나라에서 돈을 줘야 할 정도로 깜깜하다는 것을 나라가 인정한 꼴이었다. 돈 받아도 안 가는 이공계가 돈을 내면서도 가는 다른 학과와 비교된 것은 덤이었다.

2010년대가 저물어가는 지금, 신문을 볼 때마다 이공계로 수험생들이 몰린다는 기사를 보게 되는 요즘에는 참 생소하게 들릴 10여년 전 이야기이다. 왜 10여 년 전에는 돈을 준대도 기피대상이던 이공계에 지금은 사람이 몰릴까. 이공계 장학금을 꾸준히 줘 왔어서? 아니다. 장담하는데 이공계 장학금 제도를 지금 갑자기 없애 버려도 이공계로 여전히 사람이 몰릴 것이다. 예전에 법대와 의대로 지원자가 몰렸던 게 장학금 때문은 아니었지 않는가. 사람들은 전망을 본다. 당장 등록금을 많이 내더라도 졸업 후에 자기에게 도움이 될 것 같으면 그 학과에 지원하고, 반대로 장학금을 많이 받을 수 있더라도 졸업 후의 전망이 어두컴컴하면 그 학과에 지원하지 않는 것이다.

입시 이야기를 주저리 주저리 한 것 같지만 사실은 저출산에 대한 이야기이다.

얼마 전 본 신문 기사에는 2006년 부터 지금까지 한국 정부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69조 원을 썼다고 나와 있었다. 하지만 결과는 세계 최저의 출산률이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이공계 장학금과 같은 맥락에서 봐야 한다. 첫째 낳으면 얼마, 둘째 낳으면 얼마, 셋째 낳으면 얼마, 어린이집 얼마 식으로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해준다는 소식을 보며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할까? '아, 애 낳아서 키우는 게 나라에서 돈을 줄 정도로 기피할 만한 일이구나' 라고 생각하지 않을까.

이공계 기피 현상을 해결한 것이 이공계 장학금이 아니라 좋아진 이공계 졸업 후의 전망이었듯, 저출산 해결은 정부 보조금이 아니라 육아가 즐거울 것이라는 전망을 국민들에게 보여주는 것에 있다. TV에 연예인들이 나와서 예능이라는 미명 하에 결혼생활을 무슨 인생의 파멸마냥 이야기하며 히죽거리는 한, 어린이집에서 무 한 조각으로 수십명 치의 무국을 끓였다는 소식이 들리는 한, 중고등학생들이 같은 반 친구를 피범벅이 되도록 두들겨 팼다는 뉴스가 들리는 한, 대졸자들이 집을 사려면 20년 동안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다 모아야 하는 한 269조가 아니라 더 큰 돈을 쏟아부어도 출산률은 올라가지 않을 것이다.

무가지보(無價之寶)라는 말이 있다. 진짜 보물은 값을 매길 수 없는 법이다. 출산은 그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는 것 자체가 불경스러울 귀한 일인데 그 귀한 출산에 대한 문제를 돈을 퍼부어서 해결하려 했기에 역대 정책이 다 실패한 것이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즉 어슴푸레한 새벽의 아름다움, 팔랑거리며 날아가는 나비, 시원한 바람 소리, 투명하게 빨간 단풍잎, 쨍한 겨울 하늘을 국민들이 마음 놓고 느낄 수 있는 사회가 되는 순간 사람들은 정부에서 보조금을 주지 않아도 그 아름다움을 내 자식에게도 보여주고 싶어서 자녀를 갖게 될 것이다.

어젯밤에 자려는데 목이 따갑고 눈이 가려웠다. 먼지가 많은가 하고 창문을 열자 갑자기 공기청정기가 세게 돌기 시작하더니 곧이어 눈이 엄청 따가워졌다. 최루탄이었다. 전철역 한 정거장 건너에서 쏜 최루탄이 바람을 타고 우리 동네까지 온 모양이었다.

11월 12일 화요일 밤에 홍콩 중문대학에서 경찰이 최루탄과 고무탄을 천 발 넘게 쐈다고 한다. 훈련소에서 받았던 화생방 훈련이 생각이 났다. 학교 캠퍼스 한 곳에 최루탄 천 발이 떨어지는 게 상상이 가지 않는다. 다 죽여버리겠다는 건가.

시위 진압 과정에서 경찰이 사용하는 폭력은 최소화되어야 하지 않을까. 홍콩 경찰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시위대가 전철역으로 도망가자 역 입구를 다 막은 뒤에 역 안에 최루탄을 쐈다. 마치 꼭 벌레 잡으려고 연막탄 치는 것 처럼. 최루탄 천 발이 떨어진 중문대학도 입구는 막혀 있었다.

실제로 홍콩 경찰들이 시위대를 바퀴벌레, 광동어로 갓잣이라고 부른다는 것은 유명한 사실이다. 시위대를 사람이 아니라 벌레로 보고 있으니 그렇게 진압을 과격하게 하게 되는 것이리라. 하지만 홍콩 경찰에게는 유감스럽게도 그들이 시위대를 바퀴벌레라고 부른 그 순간에 그들은 시위대에게 이미 진 것이다. 인류 역사에 걸친 사람과 바퀴벌레의 싸움에서 승자는 언제나 바퀴벌레였으니. 홍콩 정부가 시위를 진압하고 싶으면 시위대가 벌레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 부터 시작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