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2022 - 8. 인생은 운전

나는 하나를 완벽히 끝내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잘 넘어가지 못하는 성격이다. 어릴 때 비디오 게임을 할 때면 화면에 나타나는 동전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다 먹어야 했고 이야기 진행이 중요한 컴퓨터 게임을 할 때면 맵에 있는 장소를 다 방문하고 모든 등장인물을 다 만나봐야 직성이 풀렸다. 대학원생 때는 기말고사까지 다 끝난 다음에도 수업 때 이해가 가지 않았던 내용을 들고 교수님을 찾아갔었고, 대학교 때 배웠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가 깊이 이해가 가지 않아 사회인이 된 지금까지도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를 시도해 왔다.

이런 나에게 있어 볼거리가 넘쳐나는 캘리포니아 1번 주도(州道)에서의 운전은 어떤 의미에서 고역이었다. 황홀한 풍경이 쉬지 않고 계속해서 나타났지만 나는 계속 앞만 보고 차만 몰아야 했다. 낮에는 그래도 마음에 여유가 있어서 도로 옆 간이 쉼터 공간이 나타나면 차를 대고 경치를 보곤 했지만 해가 조금씩 붉은빛을 띠며 서쪽 수평선에 가까워지기 시작한 후로는 마음이 급해져서 비어있는 도로를 끝없이 달리고 또 달렸다.

그렇게 달리다 보니 끝없이 이어질 것만 같던 깎아지른 해안 절벽과 삐죽삐죽한 젊은 산들이 어느새 시나브로 사라지고 그 자리를 둔탁하게 닳은 오래된 얕은 언덕과 초원이 메우고 있었다. 하얗게 쨍했던 한낮의 햇빛이 북쪽의 날카로운 절벽과 참 잘 어울렸다면 붉은 기가 도는 초저녁의 햇빛은 얕은 언덕과 초원에 잘 어울렸다. 어느새 이렇게 경치가 바뀌었지 하고 놀라던 찰나 멀리 무언가 검은 것이 보였다. 자세히 보니 소였다. 여러 마리의 소가 넓은 풀밭을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풀을 뜯고 있었다.

아, 이게 말로만 듣던 방목형 목장이구나. 소들이 주인도 없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게 신기해서 자세히 보고 싶었지만 목장이 도로 옆에 있었기에 소를 오랫동안 볼 수가 없었다. 운전자에게는 전방 주시의 의무가 있지 않나. 못내 아쉬워 운전하면서 고개를 잠깐씩 돌려 소들을 보려 했지만 그러자 운전도 잘 안 되고 소도 잘 안 보였다. 그렇게 한참을 시도하다가 결국에는 소를 제대로 보는 것을 포기하기로 했다. 아쉬웠지만 어쩔 수 없었다. 소를 보자고 도로 한복판에서 멈출 수도, 아니면 차를 돌려 오던 길을 되돌아갈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이 소들은 - 적어도 이번 여행에서는 - 내가 자세히 관찰할 정물화의 대상이 아니라 휙휙 지나가는 크로키의 대상이라는 것을 인정하기로 했다. 그러자 마음이 편해졌다.

인생은 유턴 없는 운전과 참 비슷하다. 유턴 없는 길에서는 한번 지나온 곳에 다시 갈 수 없고, 인생에서는 한번 지나온 시간을 다시 살 수 없다. 운전을 하다가 창 밖에 있는 소를 제대로 보지 못 했더라도 다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고, 살면서 제대로 하지 못해 후회되는 일이 있더라도 그 시간으로 되돌아가 그 일을 고칠 수는 없다. 갈림길 직전에 방향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을 깨달았다면 우물쭈물할 시간 없이 바로 그 순간 잽싸게 길을 바꿔야 한다. 그렇게 계속해서 수많은 아쉬움을 남기며 앞으로 앞으로 가야 하는 것이 운전이고 우리의 삶이다. 그리고 지금 놓친 풍경에 아쉬워하기보다는 앞에 있는 모퉁이를 돌았을 때 갑자기 눈앞에 펼쳐질 장관을 기대하는 것이 여행자의 바른 운전 태도이고 바른 삶의 태도이다. 덧붙이자면 그렇게 멋진 경치가 많이 나타날 길을 선택하는 것이 삶의 지혜이고.

이런 생각을 하자 마음이 편해졌고 해는 점점 지면서 붉다 못해 주황색이 된 게으른 빛을 느릿느릿 뿌리고 있었다. 그 빛을 받으며 나는 남으로 남으로 향했다. 그리고 한참 뒤 이야기이지만, 캘리포니아 여행을 다 마치고 집에 돌아간 나는 책장에 있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책을 버릴 수 있었다.


캘리포니아 2022 - 7. 내 소리는 다음 사람에게 닿을 것

박지원의 열하일기에는 호곡장론(好哭場論)이라 불리는 유명한 글이 있다. 평생을 산이 가득한 조선에서 살던 박지원은 요동을 지나다가 처음으로 끝없는 벌판과 지평선을 보았고, 그 자리에서 감탄해서 "호곡장! 가이곡의. (好哭場! 可以哭矣.)" 라고 외쳤다. 한문으로 쓰다 보니까 말이 그렇다는 거지 실제로 했던 말은 "이야, 여기 진짜 울기에 좋은 곳이네! 정말 울어볼 만 하네!" 정도였을 것이다. 이 멋진 풍경을 보고 왜 하필이면 우냐는 일행의 말에 박지원은 아기도 태어나면 울지 않냐며, 갓 태어난 아기는 슬퍼서 우는 게 아니라 좁은 태중에 있다가 갑자기 무한히 넓은 세상을 만나게 되자 속이 시원해서 크게 한바탕 우는 것이라고 대답한다. 그처럼 자기도 지금 무한을 보게 되자 속이 시원해서 갓난아기처럼 울고 싶은 것이라고.

주차할 수 있도록 갓길이 확장된 곳에 차를 대고 문을 열자 바람 소리가 귀를 울렸다. 차에서 내리니 육중한 파도가 절벽과 암초를 만나면서 만들어내는 무섭게 하얀 물보라가 생겼다가 없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었다. 최남선의 해(海)에게서 소년에게에 나오는 파도는 자기의 큰 힘을 아느냐 모르느냐고 호통을 쳤다지만 지금 이 파도는 그런 말조차 귀찮다는 듯, 아무 말도 없이 그저 자기의 거대함과 육중함, 무겁고 검푸른 물과 두텁고 하얀 물보라 그 자체로 자신을 드러내고 있었다. 주위에 아무도 없이, 나 홀로 갓길에서 그 광경을 보고 있었다.

얼마나 그렇게 있었을까,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싶어졌다. 박지원이 요동 벌판을 보고 정말이지 울기에 좋은 곳이라고 감탄했다던 이야기도 순간 생각이 났다. 열하일기를 제대로 읽지도 않았으면서 그 순간 그 내용이 떠올랐던 것은 아마도 내가 살면서 읽었던 여러 문장 중 목놓아 울기에 좋은 곳이라는 바로 그 표현이 당시의 내 감정과 가장 비슷했기 때문이지 않았을까. 선 채로 잠시 고민을 하다가 크게 소리를 질렀다. 주위에 아무도 없기 때문이기도 했고 바람과 파도 소리가 워낙에 커서 내가 소리를 질러봤자 잘 안 들릴 것이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소리를 지르지 않고는 가슴이 터질 것 같아 견딜 수 없어서였다. 한참 길게 소리를 질렀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해서 또 다시 크게 소리를 질렀다. 그제야 속이 뻥 뚫렸다. 시대도 장소도 달랐지만 박지원도 요동 벌판을 보며 이런 기분이었을 것임을 감히 알 수 있었다.

호곡장론의 맨 끝에서 박지원은 울 만한 곳이 또 있다며 금강산과 황해도 몽금포 이야기를 꺼낸다. 금강산 비로봉에 올라 동쪽 바다를 바라보면서, 황해도 몽금포의 모래사장을 걸으면서도 크게 울 만하다고. 박지원이 금강산 여행을 갔던 것은 29살이던 영조 41년, 1765년이었다. 박지원은 몰랐겠지만 그 때 금강산 비로봉 꼭대기에서 동해를 향해 목놓아 울었던 박지원의 울음소리는 바닷물에 녹아들어 태평양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그렇게 바다에서 257년을 떠돌다가 육중한 파도 소리가 되어 태평양 반대편에 서 있던 내 귀에 들어왔다. 그리고 나는 큰 소리를 질러 그 소리에 화답했다. 내 소리 역시 대양을 돌고 돌다가 누군가의 귀에 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은 자기의 소리로 내 소리에 화답할 것이다. 지금 이를 이렇게 글로 남기는 것은 내 소리에 화답할 그 사람이 내 소리를 들었을 때에 그것이 내 소리인 줄 알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캘리포니아 2022 - 6. 맥주 마시던 어린이

십여 년 전 미국에 처음 갔을 때 일이다. 패스트푸드점에 들어갔는데 잘 해야 초등학교 3학년 정도로 보이는 아이가 빨대로 캔맥주를 마시고 있었다. 대낮에 아이가 맥주를 너무나도 당당하게 마시고 있는 것에 한 번 놀랐고, 캔에 beer라고 크게 쓰여 있는데도 주위의 어른들 중 그 누구도 그 아이에게 뭐라고 하지 않는 것에 두 번 놀랐었다. 신문에서 봤던 미국의 공교육 붕괴 기사가 머릿속에서 맴돌았고 척화비를 세우던 흥선대원군의 심정이 이해가 가기 시작했다. 아니 인의예지가 없어도 너무 없네. 미국이 쇠락할 날이 멀지 않았구만.

그 아이가 마시던 것이 맥주가 아니라 루트 비어(root beer)라는 이름의 탄산음료라는 것을 안 것은 그로부터 며칠 후였다.

루트 비어는 이름과는 달리 맥주와는 전혀 상관 없는 음료수다. 맥주도 아닌데 이름에 왜 비어(beer)가 들어가는지 미국 사람에게 물어봤지만 자기도 잘 모르겠다는 대답만 들을 수 있었다. 맛은 뭐랄까, 수정과에 물파스를 섞고 탄산을 넣은 맛인데 이게 묘하게 중독성이 있어서 그 후로 나도 기회 될 때마다 찾아 마시곤 하게 되었다.

소살리토에서 한참을 걷다가 점심을 먹기 위해 들어간 햄버거집에서 루트 비어를 발견했다. 반가운 마음에 바로 주문을 했다. 예의 그 물파스 향이 코를 찔렀다. 동시에 십여 년 전의 맥주 마시던 어린이 사건도 다시금 떠올라서 조용히 혼자 씩 웃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