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하기와 플러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올라갔을 때 가장 낯설었던 일은 수학 선생님이 +를 더하기가 아니라 플러스라고 읽었던 일이다. 선생님 뿐만 아니라 학원에서 속칭 "선행학습"을 해 온 아이들은 다들 더하기 대신 플러스라는 말을 사용했다. 빼기도 마이너스가 되어 있었다. 어색했고 이상했다. 그렇게 일 더하기 일도 아니고 원 플러스 원도 아닌 일 플러스 일이라는 이상한 언어로 수학을 배웠다. 더하기는 초등학생이나 쓰는 용어이니 중학생이 되었으면 플러스 정도는 써 주어야 한다는 이상한 암묵적인 분위기가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왜 곱하기와 나누기는 타임즈, 디바이디드 바이라고 안 읽었나 싶다.
안 중요한 학문이 어디 있겠냐마는 수학은 정말 중요한 학문이다. 그리고 중요한 학문일수록 어휘의 우리말화가 중요하다. 잘 만들어진, 혹은 잘 번역된 전공 용어는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다행히 고등학교 수준 까지의 수학 용어는 우리말로 대부분 잘 옮겨진 편이다. 경우의 수, 제곱, 사다리꼴, 꼭짓점, 원뿔곡선 등 좋은 우리말 용어가 많다.
의아한 점은 대학교에 가면 다시 사람들이 영어 용어를 쓰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마치 중학교에 가자 더하기를 플러스라고 했던 것 처럼 대학에 가면 행렬을 매트릭스라고 하게 된다. 왜 그러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말한다. 새로운 개념을 원서를 통해서 배우다 보니 우리말 용어를 쓰고 싶어도 우리말 용어가 없다고. 그렇게 따지면 자연수, 실수, 정수도 원래는 없던 말이었다. 아니, 인류 전체에게 그런 개념 자체가 없던 적도 있었다.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 그에 맞는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서 붙여주면 될 일이다. 김춘수 시인도 이름을 제대로 불러줘야 나에게 와서 꽃이 된다고 하지 않았나.
수학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대부분의 이공계 전공 과목이 그렇다. "이콜라이에서 진 뿔려서 젤러닝 한 다음에 마말리안 쎌에 넣었습니다" 같은 말이 나온다. 대장균에서 유전자 증폭시켜서 전기영동 한 후에 포유류 세포에 넣었다고 하면 될 것을.
각 전문 분야에서 우리말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면 좋겠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별로 없지만 작은 변화라도 만들고 싶은 마음에 예전에 중고등학생 수학 과외를 할 때면 꼭 더하기, 빼기라는 말을 썼다. 헷갈릴 일이 없는 상황이면 세모, 네모도 썼다. 단 한 번도 학부모들에게 그에 대한 불만을 들은 적이 없고 그렇게 일 년 이상 과외를 했던 학생도 있는 걸 보면 적어도 더하기 빼기 세모 네모를 썼다고 해서 학생들 수학 실력이 떨어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올라갔을 때 가장 낯설었던 일은 수학 선생님이 +를 더하기가 아니라 플러스라고 읽었던 일이다. 선생님 뿐만 아니라 학원에서 속칭 "선행학습"을 해 온 아이들은 다들 더하기 대신 플러스라는 말을 사용했다. 빼기도 마이너스가 되어 있었다. 어색했고 이상했다. 그렇게 일 더하기 일도 아니고 원 플러스 원도 아닌 일 플러스 일이라는 이상한 언어로 수학을 배웠다. 더하기는 초등학생이나 쓰는 용어이니 중학생이 되었으면 플러스 정도는 써 주어야 한다는 이상한 암묵적인 분위기가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왜 곱하기와 나누기는 타임즈, 디바이디드 바이라고 안 읽었나 싶다.
안 중요한 학문이 어디 있겠냐마는 수학은 정말 중요한 학문이다. 그리고 중요한 학문일수록 어휘의 우리말화가 중요하다. 잘 만들어진, 혹은 잘 번역된 전공 용어는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다행히 고등학교 수준 까지의 수학 용어는 우리말로 대부분 잘 옮겨진 편이다. 경우의 수, 제곱, 사다리꼴, 꼭짓점, 원뿔곡선 등 좋은 우리말 용어가 많다.
의아한 점은 대학교에 가면 다시 사람들이 영어 용어를 쓰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마치 중학교에 가자 더하기를 플러스라고 했던 것 처럼 대학에 가면 행렬을 매트릭스라고 하게 된다. 왜 그러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말한다. 새로운 개념을 원서를 통해서 배우다 보니 우리말 용어를 쓰고 싶어도 우리말 용어가 없다고. 그렇게 따지면 자연수, 실수, 정수도 원래는 없던 말이었다. 아니, 인류 전체에게 그런 개념 자체가 없던 적도 있었다.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 그에 맞는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서 붙여주면 될 일이다. 김춘수 시인도 이름을 제대로 불러줘야 나에게 와서 꽃이 된다고 하지 않았나.
수학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대부분의 이공계 전공 과목이 그렇다. "이콜라이에서 진 뿔려서 젤러닝 한 다음에 마말리안 쎌에 넣었습니다" 같은 말이 나온다. 대장균에서 유전자 증폭시켜서 전기영동 한 후에 포유류 세포에 넣었다고 하면 될 것을.
각 전문 분야에서 우리말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면 좋겠다. 내가 할 수 있는 건 별로 없지만 작은 변화라도 만들고 싶은 마음에 예전에 중고등학생 수학 과외를 할 때면 꼭 더하기, 빼기라는 말을 썼다. 헷갈릴 일이 없는 상황이면 세모, 네모도 썼다. 단 한 번도 학부모들에게 그에 대한 불만을 들은 적이 없고 그렇게 일 년 이상 과외를 했던 학생도 있는 걸 보면 적어도 더하기 빼기 세모 네모를 썼다고 해서 학생들 수학 실력이 떨어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글쓰기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덕방과 경복궁, 공인중개사와 청와대 (0) | 2018.08.20 |
---|---|
너무 규칙적이지 말자 (0) | 2018.05.30 |
그 남자 그 여자 (1) | 2017.09.25 |
달 (0) | 2017.09.10 |
'덤프'하지 말자 (1) | 2017.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