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릴 때만 해도 복덕방이라는 말을 자주 들을 수 있었다. 복덕방의 업무는 부동산 매매 중개이지만 보통 복덕방이라고 하면 낡은 가죽 소파에 동네 할아버지들이 둘러 앉으셔서 장기를 두시면서 짜장면을 시켜 드시는 모습이 떠오른다. 복덕방은 그렇게 동네 사람들이 무료할 때 모여서 몇 시간씩 시덥잖은 수다를 떨다가 헤어지곤 하는 그런 곳이었다.
내가 고등학생 때 쯤 부터인가, 공인중개사라는 말이 복덕방을 밀어내기 시작했다. 사실 부동산 매매라는 업무의 본질은 바뀐 것이 없었다. 하지만 공인중개사에는 낡은 가죽 소파와 장기판 대신 회색 합성 수지로 코팅된 합판 책상과 펜티엄 컴퓨터, 육중한 CRT 모니터가 있었다. 누런 색 백열등 대신 눈이 쨍한 형광등이 있었고 짜장면 배달은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복덕방(福德房)은 복(福)과 덕(德)이 있는 방(房)이라는 뜻이다. 어감 때문에 구식처럼 보여서 그렇지 사실 뜻이 참 좋은 단어이다. 반면 공인중개사라는 단어에서는 공인(公認)된 중개사(仲介士)라는 뜻 말고는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없다. 말을 배우기 시작한 어린이는 있는 그대로를 말하지만 어른은 비유와 상징을 사용한다. 같은 틀에서 볼 때 나는 복덕방이라는 성숙한 단어가 공인중개사라는 유아기적 단어로 퇴행했다고 생각한다.
조선이 건국되고 나라의 중심이 될 궁궐을 지은 뒤 태조 이성계가 정도전에게 궁궐 이름을 지으라고 했다. 그러자 정도전은 유교 경전 중 하나인 시경의 '군자 만년에 큰 복(景福)을 누리리라' 라는 구절을 인용해서 경복궁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뜻도 좋으면서 동시에 유교를 나라의 기반으로 하겠다는 의미를 잘 보여주는 이름이다. 이처럼 1395년, 지금으로부터 500여년 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은 한 나라의 중요한 건물 이름을 붙일 때에 적어도 고전 한 수는 읆을 줄 알았고 비유와 상징을 사용할 줄 알았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사는 곳의 이름은 청와대이다. 청와대(靑瓦臺)는 푸른(靑) 기와(瓦) 집(臺)이라는 뜻이다. 한자로 써 놓으니까 괜히 뭔가 있어보여서 그렇지, 행인이 길을 가다가 "와 저 집은 지붕이 파랗네" 라고 한 것과 다를 것이 없는 이름이다. 깊은 뜻이나 비유나 상징은 찾아볼 수가 없다. 굳이 엮어보려면 유물론하고나 엮일 수 있으려나.
사람은 성장하면서 어휘가 고급스러워지는데 어째 우리말은 요즘 점점 어려지는 것 같다. 복덕방과 공인중개사, 경복궁과 청와대의 차이가 그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언제쯤 500년 전으로 성숙할 수 있을까.
내가 고등학생 때 쯤 부터인가, 공인중개사라는 말이 복덕방을 밀어내기 시작했다. 사실 부동산 매매라는 업무의 본질은 바뀐 것이 없었다. 하지만 공인중개사에는 낡은 가죽 소파와 장기판 대신 회색 합성 수지로 코팅된 합판 책상과 펜티엄 컴퓨터, 육중한 CRT 모니터가 있었다. 누런 색 백열등 대신 눈이 쨍한 형광등이 있었고 짜장면 배달은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복덕방(福德房)은 복(福)과 덕(德)이 있는 방(房)이라는 뜻이다. 어감 때문에 구식처럼 보여서 그렇지 사실 뜻이 참 좋은 단어이다. 반면 공인중개사라는 단어에서는 공인(公認)된 중개사(仲介士)라는 뜻 말고는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없다. 말을 배우기 시작한 어린이는 있는 그대로를 말하지만 어른은 비유와 상징을 사용한다. 같은 틀에서 볼 때 나는 복덕방이라는 성숙한 단어가 공인중개사라는 유아기적 단어로 퇴행했다고 생각한다.
조선이 건국되고 나라의 중심이 될 궁궐을 지은 뒤 태조 이성계가 정도전에게 궁궐 이름을 지으라고 했다. 그러자 정도전은 유교 경전 중 하나인 시경의 '군자 만년에 큰 복(景福)을 누리리라' 라는 구절을 인용해서 경복궁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뜻도 좋으면서 동시에 유교를 나라의 기반으로 하겠다는 의미를 잘 보여주는 이름이다. 이처럼 1395년, 지금으로부터 500여년 전의 우리 나라 사람들은 한 나라의 중요한 건물 이름을 붙일 때에 적어도 고전 한 수는 읆을 줄 알았고 비유와 상징을 사용할 줄 알았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사는 곳의 이름은 청와대이다. 청와대(靑瓦臺)는 푸른(靑) 기와(瓦) 집(臺)이라는 뜻이다. 한자로 써 놓으니까 괜히 뭔가 있어보여서 그렇지, 행인이 길을 가다가 "와 저 집은 지붕이 파랗네" 라고 한 것과 다를 것이 없는 이름이다. 깊은 뜻이나 비유나 상징은 찾아볼 수가 없다. 굳이 엮어보려면 유물론하고나 엮일 수 있으려나.
사람은 성장하면서 어휘가 고급스러워지는데 어째 우리말은 요즘 점점 어려지는 것 같다. 복덕방과 공인중개사, 경복궁과 청와대의 차이가 그 현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언제쯤 500년 전으로 성숙할 수 있을까.
'글쓰기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비인후과와 귀코목구멍과 (0) | 2019.01.30 |
---|---|
천하장사 고양이 (0) | 2018.10.30 |
너무 규칙적이지 말자 (0) | 2018.05.30 |
더하기와 플러스 (2) | 2018.03.07 |
그 남자 그 여자 (1) | 2017.09.25 |